|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의료기기산업
- 미용의료기기
- 디지털헬스케어
- AI신약개발
- ai피부진단
- 위고비
- 의료기기규제
- 뷰노
- 의료AI
- 룰루랩
- 의료미용
- 의료기기광고심의
- 2025건강검진
- 오젬픽
- 의료미용기기
- 스마트헬스케어
- 의료기기인허가
- 의료인공지능
- 비만치료제
- 메디웨일
- 가정용의료기기
- AI헬스케어
- AI의료기기
- GLP1
- 의료기기허가
- 의료기기시장
- 국가건강검진
- 여성건강
- 의료기기법
- 유방암검진
- Today
- Total
medical-learner 님의 블로그
2025 로봇수술 기기, 국내 시장 점유율과 향후 전망 총정리 본문
2025 로봇수술 기기, 국내 시장 점유율과 향후 전망 총정리
medical-learner 2025. 11. 14. 20:29
국내 로봇수술 기기 시장은 2025년 기준 급격한 성장 국면에 들어섰다. 인공지능(AI)과 정밀제어 기술의 발전, 고령화로 인한 수술 수요 증가, 그리고 글로벌 기업과 국산 업체 간의 기술 경쟁이 시장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기존에는 미국 인튜이티브서지컬의 ‘다빈치’가 시장을 독점했으나, 최근 한국 기업들이 정밀 로봇 팔 제어 기술, 영상 인식 기반 자동화 수술 시스템 등을 개발하며 빠르게 추격 중이다. 정부의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정책과 병원들의 로봇수술 인프라 확충도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이다.

목차
- 국내 로봇수술 시장 개요
- 글로벌 시장과의 비교
- 국내 주요 기업 및 제품 현황
- 병원별 로봇수술 도입 현황
- 정부 정책 및 규제 변화
- 기술 트렌드와 미래 전망
- 시장 성장의 핵심 동인
- 향후 5년간 성장 전략 제언
1. 국내 로봇수술 시장 개요
![]() |
![]() |
국내 로봇수술 시장은 202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도입률이 낮았으나, 2023년 이후 병원들의 투자 확대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4년 기준 국내 로봇수술 건수는 연간 약 10만 건을 돌파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5%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정형외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일반외과 중심으로 로봇수술의 비중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인튜이티브서지컬의 다빈치(Da Vinci) 시스템이 여전히 강세지만,
국내 기업인 큐렉소(CUREXO), 리브스메드(LIVSMED), 메디트로닉코리아, 삼성메디슨 등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국산 로봇수술 기기를 상용화하며 시장 점유율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2. 글로벌 시장과의 비교
글로벌 로봇수술 시장은 2025년 약 12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일본, 유럽이 선도하고 있으나 한국은 기술 집약도와 의료 인프라 수준 면에서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한국은 특히 정밀 제어 로봇 및 AI 영상 인식 기술 분야에서 강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리브스메드의 REVO-i 시스템은 다빈치 대비 30% 저렴한 비용으로 유사한 수술 정밀도를 제공하며,
큐렉소의 큐비스-스파인(CUVIS-spine)은 척추 수술용 로봇으로 아시아 시장에서 빠른 점유율 확장을 보이고 있다.
시장 진입을 고려하는 기업이라면, 각국의 인증제도(FDA, CE, MFDS, NMPA)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전문 인증업체의 컨설팅을 통해 제품에 맞는 전략을 알아볼 수 있다.
3. 국내 주요 기업 및 제품 현황
- 리브스메드 (LIVSMED) – 복강경 수술용 로봇 REVO-i
: 다빈치 대비 낮은 비용과 유지비로 국내외 병원들의 도입률이 증가하고 있다. - 큐렉소 (CUREXO) – 정형외과 및 척추 수술용 로봇 CUVIS-joint / CUVIS-spine
: 인공관절 수술 및 척추 나사못 삽입 수술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며, 인도·유럽 시장에도 진출 중이다. - 삼성메디슨 – AI 기반 영상 진단 및 로봇 보조 시스템 개발 중
: 초음파 기술과 로봇 수술을 융합한 차세대 수술 플랫폼을 연구 중이다. - 메디트로닉코리아 – 글로벌 의료기기 강자로, 수술용 로봇 Hugo RAS를 국내 시장에 출시하며 경쟁 구도 강화.
![]() |
![]() |
![]() |
| (출처: 리브스메드 사이트) | (출처: 삼성메디슨) | (출처: 메드트로닉 ) |
4. 병원별 로봇수술 도입 현황
국내 주요 상급종합병원들은 로봇수술 전용 센터를 확충 중이다.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은 각각 10대 이상의 로봇수술 장비를 운영하고 있다.
지방 거점 대학병원들도 2024년 이후 로봇수술 장비 도입을 늘리며 지역 격차를 줄이는 추세이다.
로봇수술의 확산은 환자의 회복 기간 단축, 출혈 최소화, 흉터 감소 등 의료 서비스 품질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환자 만족도와 병원 수익성 향상으로 직결되어, 의료기관의 투자 의지를 높이고 있다.
5. 정부 정책 및 규제 변화
보건복지부는 2024년 ‘첨단 의료기기 산업 육성 로드맵’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및 수술 로봇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임상시험 절차 단축, 보험수가 적용 확대, 연구개발(R&D) 세액 공제 등이 추진되고 있다.
식약처 역시 수술 로봇 인증 기준을 완화하고, 임상시험 데이터를 신속 검증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국산 로봇의 상용화를 촉진하며, 해외 수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시장 조사나 의료기기 트렌드 리포트를 찾고 있다면, 전문 리서치 업체의 레포트를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6. 기술 트렌드와 미래 전망
![]() |
![]() |
로봇수술 기기의 핵심 기술은 AI 기반 자동화, 3D 비전 시스템, 원격 수술(tele-surgery)로 요약된다.
AI 영상 분석 기술을 통해 수술 중 실시간으로 환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정확한 절개 위치와 깊이를 자동 제시하는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5G 통신 기술을 활용한 원격 수술 플랫폼이 실험 단계에서 상용화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한국은 5G 인프라 강국으로, 원격 의료 분야에서 세계 시장의 주도권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7. 시장 성장의 핵심 동인
- 고령화 가속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급증하면서, 최소침습 수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의료 서비스 고도화: 환자 경험 중심의 의료 트렌드가 확산되며, 병원들이 로봇수술을 차별화 포인트로 삼고 있다.
- 기술 자립화: 국산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해외 의존도가 낮아지고, 수입 대체 효과가 확대되고 있다.
- 투자 증가: 벤처캐피탈 및 병원 투자 규모가 2025년 기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8. 향후 5년간 성장 전략 제언
향후 5년간 국내 로봇수술 기기 시장은 연평균 1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산 브랜드의 기술력 제고, 글로벌 인증 확보, AI 기반 자동화 기능 강화가 핵심 과제이다.
특히 의료기관 간의 데이터 연동과 원격 수술 인프라 구축이 병행된다면,
한국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의료 로봇 허브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부-기업-병원 간 협력체계 강화가 시장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다.
한국형 로봇수술 생태계가 완성된다면, 향후 10년 내 글로벌 Top 3 의료 로봇 강국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의료기기 산업 뉴스·트랜드 > 로봇수술·웨어러블·가상현실(V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웨어러블 의료기기 시장 분석|스마트 헬스케어의 새 시대 (0) | 2025.10.25 |
|---|---|
| 큐렉소, 척추수술 로봇 ‘큐비스-스파인’, 혁신의료기술로 떠오르다 (0) | 2025.09.23 |
| 가상현실(VR) 의료기기, 최신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0) | 2025.08.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