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medical-learner 님의 블로그

경기·인천 의료기기 산업 동향 2025: 제조·수출 현황과 미래 전망 본문

기타 (의료보험·의료 관련 정책 등)

경기·인천 의료기기 산업 동향 2025: 제조·수출 현황과 미래 전망

medical-learner 2025. 8. 11. 09:00
반응형
2025년 경기 인천 의료기기 산업 동향

 

 

[목차]

  1. 서론: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핵심 거점, 경기·인천
  2. 경기·인천 의료기기 제조 현황
    2-1. 제조업체 수와 비중 변화
    2-2. 주요 제조 품목과 강점 분야
  3. 생산액 변화와 품목별 시장 구조
    3-1. 경기도: 영상진단·치과 중심 구조
    3-2. 인천: 개인용혈당측정기와 체외진단 강세
  4. 수출 현황과 글로벌 시장 진출
    4-1. 경기 지역 수출
    4-2. 인천 지역 수출
  5. 향후 전망과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5-1. 글로벌 트렌드와 신기술 영향
    5-2. 정책·산업 클러스터의 역할
  6. 결론

 

1. 서론: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핵심 거점, 경기·인천

 

2025년 현재, 전국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46%가 경기도와 인천에 집중되어 있다.
경기도는 영상진단장치, 치과용 임플란트,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등 첨단 영상·치과 분야에서, 인천은 개인용혈당측정기, 체외진단기기, 성형부목 등 특화 제품군에서 강세를 보인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진단키트 수요 폭발로 단기 성장세를 보였으나, 이후 수요 조정 국면에서도 품목 다변화와 기술 혁신을 통해 안정적인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2. 경기·인천 의료기기 제조 현황

 

2-1. 제조업체 수와 비중 변화

  • 경기도: 2024년 기준 1,818개 제조업체, 전국 비중 41.8%, 연평균 성장률 4.1%
  • 인천: 198개 제조업체, 전국 비중 4.6%, 연평균 성장률 4.2%

이러한 성장세는 의료기기 특화 산업클러스터, 규제 완화, 연구개발(R&D) 지원, 인력 공급 체계 등 복합적인 요인 덕분이다.


2-2. 주요 제조 품목과 강점 분야

  • 경기: 의료영상획득장치(6.2%),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4.8%),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5%)
  • 인천: 개인용혈당측정기(18.4%), 성형부목(10.4%), 안경렌즈(8.5%)

품목별 특화 전략은 두 지역 모두 글로벌 수요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2025년 경기인천 의료기기

3. 생산액 변화와 품목별 시장 구조

 

3-1. 경기도: 영상진단·치과 중심 구조

경기도의 의료기기 생산액은 2020년 3조 4,916억 원에서 2022년 약 5조 원까지 올랐다가, 2024년 3조 5,532억 원으로 조정됐다.
품목별 비중은 기계·기구류 64.2%, 의료용품 14.7%, 치과재료 12%다.


3-2. 인천: 개인용혈당측정기와 체외진단 강세

인천의 생산액은 2020년 1,221억 원에서 2024년 2,222억 원으로 연평균 16.2% 성장했다.
개인용혈당측정기가 전체 생산의 18.4%를 차지하며,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지속 성장세가 예상된다.


 

4. 수출 현황과 글로벌 시장 진출

 

4-1. 경기 지역 수출

2024년 경기도의 의료기기 수출액은 20억 9,700만 달러로 전국 비중 39.9%를 차지한다.

  • 주요 품목: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7.2%), 의료영상획득장치(6.5%),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6.3%)
  • 주요 수출국: 미국, 중국, 일본

4-2. 인천 지역 수출

2024년 인천의 수출액은 5,900만 달러.

  • 주요 품목: 개인용혈당측정기(18.6%), 심미수복용 복합레진(10.8%), 합성재료흡수성창상피복재(9.9%)
  • 주요 수출국: 미국, 일본, 러시아

 

5. 향후 전망과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5-1. 글로벌 트렌드와 신기술 영향

AI 기반 영상진단, 3D 프린팅 치과재료,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등 신기술이 산업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경기·인천 의료기기 산업은 디지털헬스케어와 융합해 원격진료, 맞춤형 치료, 예측진단 시장 확대에 대응하고 있다.


5-2. 정책·산업 클러스터의 역할

정부와 지자체는 의료기기 특화산업단지 조성, R&D 세제 혜택, 수출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 중이다.
경기 판교·성남·용인, 인천 송도는 이미 글로벌 의료기기 클러스터로 성장했다.


 

6.결론

 

경기 인천 의료기기 산업은 대한민국 의료산업의 심장이다.
품목 다변화, 기술 혁신,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이라는 세 가지 축을 바탕으로, 두 지역은 앞으로도 국내외 의료기기 시장을 선도할 것이다. 

 

 

 

반응형